• 즐겨찾기 추가
시군협회보
광주시출입
전남도출입
목포시지회
여수시지회
순천시지회
광양시지회
나주시지회
무안군지회
구례군지회
곡성군지회
고흥군지회
보성군지회
화순군지회
담양군지회
장성군지회
장흥군지회
강진군지회
해남군지회
영암군지회
함평군지회
영광군지회
진도군지회
완도군지회
신안군지회
해남군, 고품질 고구마 생산위한 현장지도반 편성 농가교육 진행

“맛좋은 해남고구마는 육묘단계부터 철저관리”
씨고구마 파종 전·후 관리 현장 지도반 편성, 농가 교육 나서

2025년 02월 24일(월) 17:12
해남군, 고품질 고구마 생산위한 현장지도반 편성 농가교육 진행
[대한기자협회 해남군지회 박광일 기자] 해남군이 대표 특산물인 고구마의 고품질 생산을 위해 현장지도반을 편성해 육묘단계부터 철저한 관리에 나섰다.

해남군은 고구마 생산의 첫걸음인 씨고구마 파종 시기를 앞두고, 2월부터 4월까지를 중점 지도 기간을 설정하고 주요 토양전염성 병해충 예방 및 우량 종순 생산을 위한 농가 현장 지도와 함께 방제기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고구마 육묘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토양전염성 병해충은 묘상, 본포, 저장 과정까지 피해를 유발할 수 있어 초기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주요 병해로는 흰비단병, 더뎅이병, 덩이줄기썩음병 등이 있으며, 병 발생 시 고구마 줄기가 검게 변색되거나 생육 불량, 시들음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덩이줄기썩음병은 일본 가고시마현과 미야자키현에서 발생해 큰 피해를 초래하였으며, 해남에서도 피해 사례가 보고된 만큼 철저한 예방이 필요하다.

예방을 위해서는 씨고구마 파종 전 토양 살균제 및 살선충제 처리와 함께 건강한 씨고구마 사용, 주기적인 묘상 점검이 필수적이다. 병 증상이 발생할 경우 즉시 이병주를 제거하고 사용한 농기구를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

해남군 관계자는 "씨고구마 파종 전후 관리와 건전한 육묘 환경 개선으로 병해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며 "농가를 대상으로 예방 교육 및 현장 지도, 병해충 방제 기술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자이름 대한기자협회 해남군지회 박광일 기자
이메일 jgkoreaja@hanmail.net
대한기자협회 해남군지회 박광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해남군, 해남형 ESG실천 공모사업 업무협약 체결
해남 산이정원, 관광공사 강소형 잠재관광지 활성화 업무협…
해남군, 이상기후 대응 벼 병해충 방제 지원사업 추진
해남군, 군민 대상 챗GPT 활용, AI 기초부터 창작 체험 교…
해남군, 목포구등대 관광경관 명소화 사업 중앙투자심사 통…
해남군, 마늘·양파 월동 후 포장관리 철저 당부
해남군, 안심 앱 운영
해남군, 맨홀 추락사고 방지 위해 추락 방지망 설치
해남군, 적극행정 마일리지 확대 시행
해남군, 결혼이주여성 통·번역 공공일자리 운영
해남군, 청명·한식에 영농 준비까지 산불위험 최고조‘비…
해남군, 2025년 2차 공공일자리사업 참여자 모집